글을 읽기 전 알아야 하는 상식 :
채권 가격이 올라간다 = 채권 금리가 떨어진다.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 = 채권 금리가 올라간다.

초보자 분들은 그냥 외우면 되고, 모를 때마다 검색해서 보는 행위를 반복하세요. 그 과정에서 뇌에 각인되고 장기기억으로 넘어가서 지식이 됩니다.

1. 이번 글은 솔직히 풀기 아까운 수준의 통찰이 담겨있음.

2. 쓸까말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 댓글이나 쪽지와 DM을 보면서 황금을 줘도 똥이라고 욕하는 놈이 있고, 똥을 줘도 그 안에서 황금을 찾아내는 분이 있음을 다시 한 번 깨달음

3. 늘 강조하는 DIKW 피라미드 모델처럼 데이터 → 정보 → 지식 → 지혜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알아듣는 소수를 위해 씀.

4. 글을 읽다가 못 알아먹겠거나 뭔 개소리야 같은 생각이 든다면 글에서 정보나 지식을 습득하지 못하고 데이터로만 보고 있는 상태이므로 뒤로가기를 누르면 됨.

5. 지금으로부터 약 3주 전, 트럼프는 3.7조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서명했음

6. 다들 알다시피 표면상 드러난 것들은 규제이지만 속내는 비트코인 가격 급등이 전제된 정책.

7. 미국 재무부 스콧 베센트는 ‘부채를 줄일 수는 없으니 GDP를 부채보다 빠르게 키워 부채비율을 안정화 하겠다.’고 함

8. 트럼프도 당연히 비슷한 뉘앙스를 풍기고 관련 발언을 이어감.

9. 지금은 사이가 멀어진(것으로 보이는) 머스크도 “적자, 부채, 지출 감축 불가, GDP 급성장이 유일한 해법”이라 인정한 바 있음.

10. 즉, 긴축은 포기, 성장 드라이브만 남았다는 말

11. 문제는 이 성장의 수단이 ‘돈풀기’라는 점.

12. 생산성이 따라오지 않는 상황에서 돈만 풀면? 인플레이션이 필연적으로 따라옴

13. 이전 글에도 썼듯이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보다 자산 시장에서 더 빠르게, 더 많이 반응함.

14. BIS(국제결제은행)도 ‘재정 지배가 인플레이션을 부른다’고 경고함. 미국 국채 신용도는 계속 평가절하되는 중.

15. 너도나도 미국 국채를 내다파니까 국채 금리는 계속 올라감

16. 미국 재무부 장관 베센트는 이를 해결해야 하는 사람 중 하나.

17. 재무부는 지난 7월 29일, 3분기 국채 발행 계획을 발표함

18. 단기채를 역사상 최대 규모로 발행하겠다고 함. 9월까지 1조 70억 달러 규모

19. 2분기에 5,140억 달러를 발행 예정이었으나 실제로은 650억 달러밖에 발행하지 못함.

20. 근데 나머지 4,500억 달러를 이번 분기에 몰아찍겠다는 것
이번 불장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
출처 : https://home.treasury.gov/system/files/136/Sources-and-Uses-Table-July-2025.pdf
21. 개인적으로 희대의 양아치짓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고, 여론은 언론의 결과물이자 선동하기 나름이기에 ‘재무부 정책 중 하나’ 정도라고 알려질 것. 이걸 모르고 당하는 사람들이 안타까움.

22. 여기에 추가로 장기채는 사들이는, 1,500억 달러 규모의 바이백 정책까지 펼침.

23. 말이 조금 어려운데 정리하면 단기채는 많이 발행하고, 빌려온 돈으로 장기채를 사들이겠다는 뜻

24. 그럼 장기채 금리는 떨어지고 단기채는? 공급이 늘어나니 가격이 떨어짐(=금리는 상승)

25. 현재 MMF(머니마켓펀드) 자금 규모는 약 7조 달러이고 단기채를 흡수할 능력 자체는 있음.

26. 하지만 단기채 금리가 급등하면? 금융시장에 심장마비가 옴.

27. 그럼 난리가 나는 곳은? 당연히 연준.

28.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3개월물, 6개월물은 같이 내려가고 2년물도 즉각적으로 큰 영향을 받음

29. 재무부가 단기채 부담을 연준에 떠넘기면서 ‘금리 인하 안하면 다 같이 뒤지는거야. 형은 한다면 하는 사람이야 알지?’라고 협박하는 셈.

30. 그렇게 금리를 인하하고 돈을 풀면? 금융 시장은 늘 그래왔던 것처럼 빠르게 반응함. 유동성은 폭발.

31. 조금 더 긴 호흡으로 보면, 2015년 이후 금, 비트코인 가격과 수요는 미국 국채 대비 꾸준히 상승함. 채권의 매력이 떨어지니 실물이나 디지털 희소자산으로 이동해왔음.

32. 지난 7월 21일, 트럼프가 보유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는 20억달러 규모의 비트코인과 관련 증권을 매입했다고 밝힘

33.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윌리엄 루트닉(트럼프와 30년지기) 아들도 수십억 달러 BTC 관련 기업에 투자를 주도함.

34. 지난 글에도 썼듯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은 법안 이후 한달 새 32% 급증, 서클 주가는 IPO 이후 200% 상승함.

35. 여기까지 생각의 흐름을 잘 따라온 분들이라면 시장에 대한 계산을 할 수 있게 됨.

36. 법안에서 3.7조 달러, 연말까지 단기채 2조 70억 달러, 또 어디서 몇 조 달러. 이렇게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돈이 풀린다? 현재 글로벌 전체 암호화폐 시장규모는 약 3~5조 달러.

37. 여기에 돈이 그만큼 들어오면? 오?

38. 와 같은 거대한 내러티브가 존재함(★중요)

39. ‘이래서 시장이 이렇게 작동하는구나’를 알고 조망하며 투자하는 사람이 있고

40. ‘이런 호재가 있다. 대박이다.’라며 투자하는 사람이 있음

41. 나는 어떤 사람이고,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나는 투자자로서 어떤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시야가, 통찰이 달라짐.

결론 : 38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