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래 등업, 단순 짧은 글 도배로는 되지 않습니다.
절필을 끝낸 기념으로
쓰는 첫글은
간밤에 코인판에
호재이자 악재이기도 한
소식이 하나 나왔다.
비트맨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는거 같은데
바로
![]()
이런 뉴스가 나왔다.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클래리티 법안은
어떤 코인을 상품으로 볼건지,
또
어떤 코인을 증권으로 볼건지를
나누는 기준을 제시하게 될 법안이 되는데
상품으로 분류가 되면
CFTC 의 관할권으로 들어가게 되고
해당 코인은 가즈아를 외칠 수 있는 호재가 되는 것이고
증권으로 분류가 되면
SEC 의 관할권으로 들어가게 되니
해당 코인은 ㅈ됐다를 외쳐야 하는 악재가 되는 것이다.
즉,
내 코인이 상품이냐 코인이냐에 따라
호재가 될 수도 있고
악재가 될 수도 있는
법안이 바로 클래리티 법안인데,
현재 진행사항을 잠깐 정리해보면
몇달전에 하원에서 클래리티 법안을 통과시키고
상원으로 올렸다.
이렇게 상원으로 법안이 올라오게 되면
관련된 상원 위원회에서
먼저 검토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클래리티 법안의 경우
코인을 상품이냐 증권이냐를 나누는 것이 핵심이 되는 법안이기에
클래리티 법안에 대해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위원회는
CFTC 의 관할권할을 검토하는
상원 농업위원회
SEC 의 관할권할을 검토하는
상원 은행위원회
두곳이 메인이 된다.
이 두곳의 상원 위원회에서
클래리티법안을 뜯고 씹고 물고 해서
자기들이 각각 맡은
CFTC 및 SEC 의 관할 권한이 될 기준 초안을 작성하게 되고
이렇게 작성된
두가지 초안
즉,
상원 농업위원회 초안.
상원 은행위원회 초안.
에다가
하원에서 통과되어 올라온 클래리티 법안까지
총 3개를
마지막에 종합적으로 조율하여
상원에서 통과시킬 법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 되는데,
그 중에
![]()
상원 농업위원회에서
CFTC 관할로 두어야 할 법안 초안을 만들었고
그걸 곧 발표할 예정이라는 것이니
그냥
‘어 그런가 보다’ 하고 넘길 소식은 아니다라는 것.
왜냐하면
저기 “초당적” 이라는 말이 붙었다는 것은
상원 농업위에 들어가 있는 공화당/민주당 인사들이 모두 찬성한
초안이라는 것이고
분명 저 초안에는
어떤 코인을 CFTC 관할로 둘건지에 대한 기준이 제시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저 초안의 내용이 어떠냐에 따라
어떤 코인은 호재로 작용하여
펌핑이 나올것이고
어떤 코인은 악재로 작용하여
급락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최종적인건
위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하원에서 올라온 클래리티 법안
상원 농업위에서 만든 저 초안
그리고
상원 은행위에서 작업중인 초안
이 세가지를 조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확정적인 것은 아니긴 하지만.
일단
상원 농업위에서 CFTC 권한으로 둘
즉 상품으로 분류할 코인에 대한
기준 근거를 제시하는 법안을
“초당적” 으로 먼저 만들어 냈다는 것은
추후 저 초안이
최종 법률에서 꽤 큰 비중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기에
묵과할 수는 없는 내용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각자 이제 알아보아야 할 것은
과연 내가 가지고 있는 코인이
상품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을 지
아니면
증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을 지
이 부분을 챙겨보아야 할 것이다.
내가 예전에도 비슷한 내용의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증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농후안
코인을 가지고
존버를 하다가
상품이냐 증권이냐 구분하는
법안이 최종적으로 통과되게 되면
정말 지옥을 맛보게 될 수도 있을거라고 했었는데,
![]()
이제 본격적으로
게임이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상원 농업위에서 발표하는 초안에서
확실히 CFTC 권한으로 분류가 될 코인들에 속하게 되면
일단 안심하는건 둘째치고
펌핑을 좀 노려볼 수 있을거고
그렇지 않다면
이후의 협의 과정들에 따라 바뀔수는 있겠지만
지옥을 몇번을 왔다갔다 할수도 있겠지.
그럼 내 코인이
상품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을지
아니면
증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을지
어떻게 알수 있느냐?
7월 29일날 내가 적은 글
“증권이냐 상품이냐 모르고 존버하다가 골로 간다이”
이 글에 보면
하원에서 통과해서 올린 클래리티 법안에서
상품으로 분류하게 될 코인들의 기준을 적어놓았는데
한번 읽어보면 도움이 될거다.
그래도 모르겟으면
챗지피티나
제미나이나
AI 꼬봉들한테 물어봐라
클래리티 법안에 나와 있는 기준에 근거해서
평가해주니까
일단 대충 분류하는데에는 도움이 될거다.
물론,
중요한건
![]()
상원 농업위에서 이번에 만든
저 초당적 법안 초안에 적힌
상품으로 분류될 코인들의 기준이 중요할건데,
클래리티 법안에서 확실히 상품으로 분류될 녀석들은
저 법안에서도 확실히 상품으로 분류시키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다.
애매한 부분들이
초당적 합의로 만들어지지는 않았을거니까.
그럼
존버쟁이들은
AI 꼬봉들하고 상담해보시고
갈아탈지
그래도 존버할지
알아서 결정하믄되고
단타쟁이들은
눈여겨 보는 종목이
증권쪽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을지
상품쪽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을지
역시나
AI 꼬봉들하고 상담해보고
이왕이면
펌핑이 좋은 녀석중에
상품으로 분류될 녀석을
![]()
적당한 자리에서 잘 잡아봐야지.
일단 지금까지 거의 두달동안 패턴이
단기 상승 채널에서 하락 채널로 전환되면
기존 상승 채널 하단에서 꼭 저항이 나왔었는데
이번에는 어떨지 함 보자.
그럼
절필을 끝낸 기념으로 적는
첫 글은
끝.
덧.
내 맘데로 절필했으니
내 맘데로 끝냈다.
왜?
뭐?
우짜라고?
끄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