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생파입니다. 지난 1월 말 생애 첫 토지를 낙찰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생파에요. 저는 토지초급반 온라인을 2회듣고 토지초급스터디를 수강한 후, 계속 나도 토지 투자를 할거야! 라고 생각하며 소액으로 가능한 투자가 뭐가 있을지에 …
cafe.naver.com
낙찰 후 셀프소유권등기, 처리과정 등 3개월동안 진행해 온 과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1월 말 낙찰 -> 2월 매각허가결정 -> 3월16일 잔금납부 및 셀프 소유권이전 -> 3월말 주변 토지 소유자에게 토지측량 협조문 발송 -> 4월중순 주변 토지 소유자 매입 협의 -> 4월말 매도 합의
나는 내가 생각하는 방향이 맞는지 알고 싶다.
2023년 1월 행크에서 다양한 강의를 수강하였고, 배운 것들을 활용하고 싶었습니다.
배운 지식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며, 수익은 낼 수 있을지, 과연 내가 생각하는 방향이 맞는지, 소액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물건이 있는지, 그렇게 꾸준히 물건을 검색했었습니다.
그러다 만난 물건…
물건 정보
(채권자가 대한민국)인 물건이라 신기했고, 지목이 도로인데 도로 같지 않아 보였으며, 지역도 수도권이나 대도시가 아니어서 사람들이 별로 관심이 없는 물건 같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3회나 유찰되어 아주 저렴한 상태였습니다.
주변 토지 소유관계 조사
주변 토지의 소유 관계를 조사하며, 왜 이 토지가 경매로 나오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주변의 어떤 소유자가 이 토지에 관심이 있을가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았습니다.
경매 물건 토지와 경계가 접촉해있는 건물은 22년도에 리모델링한 것으로 보여졌고, 주차장이 협소해 경매 물건 토지까지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개별공시지가가 없다?
해당 토지는 도로로 개별공시지가 자료가 없었습니다. 개별공시지가가 없는 토지도 있다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현장임장
물건지를 보고 일단 싸게 매입하여, 급하게 매도하지 말고 (빨리 매도해도 양도세가 높으니) 천천히 여유를 갖고 매도해보기로 결정하고, 입찰가를 산정하여 입찰을 결정하였습니다.
입찰 그리고 낙찰
첫 토지 경매에 도전하였고, 경쟁자를 물리치고 당당히 낙찰을 받아냈습니다.
이제 나도 땅 주인! (낙찰 후 과정)
1. 잔금 납부
2. 소유권 이전 : / 셀프 소유권이전등기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소유권이전 후 주변 부동산 사장님께 이 토지에 대해서 문의를 해봤습니다만… 부동산 사장님으로부터 부정적인 말을 들었습니다. ‘이런 토지를 누가 사냐고…’
그렇습니다.
이 토지는 관계자가 아니라면 굳이 살 필요가 없는 땅이었습니다. 저도 알고 낙찰 받았습니다.
그래도 부정적인 이야기를 들으니, 약간의 두려움도 밀려왔습니다. ‘혹시라도 내가 이 토지를 매도하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하나..’
우선 생각합니다. ‘일단 내가 생각했던 일들을 해보자!, 이 땅을 원하는 한 사람만 있으면 된다. 한 사람은 있겠지!!!’
제가 땅 낙찰잔데요, 측량할 예정이니 알고 계세요~~
내가 새롭게 바뀐 토지 주인이라는 것을 주변에 알려야했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방법은 “[지적측량 협조문]을 보내보자” 였습니다. 토지대장에 나온 토지 소유자의 주소로 등기를 보냈습니다.
그 땅 제가 살게요~
등기 발송 후 2주정도 지났을까요?
모르는 번호로 연락을 받았습니다. “옆 땅 소유자의 친한 지인인데, 전주에서 부동산을 하고 있다. 옆 땅소유자가 그 땅을 살테니, 싸게 팔아라.” 라고요.
우와~진짜 땅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구나…
그렇게 그분들과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전 낙찰부터 협의하여 매도가 중요했으므로, 큰 수익보다는 그런 경험을 하고 싶었습니다. (당연히 수익도 나면 좋고요)
그렇게 2-3번의 전화와 문자로 협상끝에 잘 협의를 하였으며, 이렇게 생애 첫 토지는 저의 손을 떠나게 됩니다.
소중하고 작은 수익(수익률 87%)까지 내주면서 말이죠.
이번 경험을 통해 배운점
만약 내가 공부를 하지 않았다면 이런 물건이 보였을까?
물건을 꾸준히 검색하지 않았다면 이런 물건을 만날 수 있었을까?
내가 도전하지 않았다면 다른 누군가 낙찰을 받았겠지?
협조문을 보내지 않았다면, 매도까지 갈 수 있었을까?
너무 큰 욕심을 부렸다면, 매도를 할 수 있었을까?
1. 행동해야 얻을 수 있다.
2. 일단 해봐야 알 수 있다.
3. 조사는 철저히 하되, 도전해야 더 알 수 있다.
4. 된다고 생각하고 실행하면 정말 된다.
5. 꾸준히 도전하고 실행해야 기회를 잡을 수 있다.
6. 소액 토지 투자로도 수익을 낼 수 있다.
다시 한번,
‘나도 소액으로 토지투자 할 수 있어!’라는 마음과
꾸준히 해나가야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달의 BEST글에 선정되신 분들은
행크알리미에게 [성함/닉네임/전화번호]를 쪽지로 보내주시면
행크에듀 5만원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