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긍정케이입니다.
그간 강의를 하며 수 많은 회원분들을 만나왔습니다. 똑같은 수업을 듣고 한 달이라는 같은 시간을 보냈는데 누구는 성과를 내고 누구는 성과를 내지 못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이유로 이렇게 결과가 차이나는 걸까요?!
제가 그간 성과내는 분들을 관찰하며 느낀 공통점을 한 번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성과내는 분들은 간절합니다.
“간절하다.” 하면 진부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도 사업도 공부도 뭐든 간절한 사람이 잘 할 수밖에 없습니다. 간절함은 보통 평상시의 결핍과 연결됩니다.
![]()
내가 특정 부분에 있어 결핍을 크게 느낄수록 그 부분을 극복하고자 하는 간절함이 커지게 됩니다. 결국 결핍이 큰 사람일수록 간절함의 깊이가 커지는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는 해당 부분에서 성과를 내기까지 끊임없이 노력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합니다.
만약 경제적인 부분에 있어 현재의 소득에 만족하며 그럭저럭 살아가는 사람은 큰 결핍을 느끼지 못하기에 열심히 투자공부를 하지 않을 것 입니다. 반대로 현재의 경제적 수준에 만족하지 않는 사람은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투자와 관련된 것은 무엇이든 열심히 할 것 입니다.
지난 공장임장스터디 5기에서 공투로 훌룡한 투자를 하신 긍정다이아 회원분이 계십니다.
얼마나 간절하신지 차량 바퀴가 터져가면서까지 공장 임장을 다니셨고 결국 2차선 도로로 확장 될 예정인 곳에 공장을 저렴하게 매입하는 성과를 내셨습니다. 또한 간절함 덕분인지 운까지 좋아 주변시세 대비 비싸게 임차셋팅까지 완료하여 요즘같은 고금리 시기에 대출을 최대한 활용했음에도 +현금흐름 까지 만들어내셨습니다.
![]()
안녕하세요 ^^ 행크에서 긍정의 기운 가~~ 득 받고 있는 긍정다이아입니다 저는 작년 12월 공장투자반, 공임스를 듣기 전. 2021년 공장을 투자 했었습니다 ^^ …
cafe.naver.com
이외에도 간절한 수강생이 좋은 성과를 낸 사례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강사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성과낸 분들 위주로 머릿속에 기억이 남습니다. 그렇기에 제 머릿속에 기억나는 분들은 단 한분도 열심히 하지 않으셨던 분들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모두 간절했습니다.
결국 아웃풋을 내기 위해서는 인풋이 필요하고 인풋은 간절함의 깊이의 따라 투입되는 양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과감함 입니다.
다음으로 성과내는 분들의 특징은 과감함입니다.
아무리 임장을 많이 다니고 좋은 물건을 찾아도 마지막에 계약하지 않으면 성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
저는 이따끔씩 안타까운 상황을 목격하게 됩니다. 충분히 열심히 임장 하시고 좋은 물건을 찾아 내셨음에도 결국 마지막에 베팅하지 못해 성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저 역시 초보시절 첫 투자를 할 때 계약날짜를 잡고 몇날 몇일을 잠들지 못해 뒤척였습니다. 잘 못되면 어떻하지, 가격이 폭락하는 건 아닐까? 등등등 두려움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평생 노동을 통해서만 수입을 창출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무섭고 두려웠지만 과감히 실행했습니다. 그렇게 투자한 첫 물건은 1년이 안되는 시점에 직장에서 벌던 1년 연봉 이상의 수익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그렇기에 투자로서 성과를 내고 싶다면 충분히 임장하고 확신이 들 때 과감성을 바탕으로 베팅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성과까지 이어지는 첫 단추를 꿸 수 있습니다.(다만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투자는 당연히 지양해야 합니다.)
따라서 평소 간절함을 바탕으로 열심히 임장하고 공부하돼,
나만의 기준에 맞는 물건이 나왔을 땐 과감히 베팅하셔야 합니다.
결국 성과를 내는 분들의 공통점은 간절함을 바탕으로 열심히 하시고 기회가 왔을 때 과감하게 실행하는 분들입니다.
여러분은 얼마나 간절하신가요? 그리고 좋은 물건이 나왔을 때 두려움을 극복하고 과감히 베팅할 수 있으신가요?
오늘은 투자 공부도 좋지만 내가 투자자로서 2가지 질문에 대해 어떤 답변을 할 수 있는지 스스로가 나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한 번 갖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