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도미넌스 차트 파동적 분석 – 5월 23일
저번 같이 실수가 읍도록 도미는 계속 분석하고 있는데 우선 큰 이중 미달 플랫으로 하락 조정을 마무리 하고 올라가는 추세.


이렇게 크게 이중미달 플랫으로 보고 바로 나오는 자리가 임펄스로 나온건 확인이 되거든


지금 위에 나온 모양을 2가지 시나리오로 유추할 수 있는데

첫번째

3파가 1파의 길이에 비해 0.786에 약간 못 미치는 경우라 하더라도, 쐐기형(웨지)이 아닌 병행 채널 형태로 나타난다면 1파 연장 임펄스로 볼 수 있제.

우선 도미의 1연장 시나리오고 확정이라고 가정하면 지금 도미넌스의 2파 조정 구간으로 볼 수 있고


24 추세 라인을 이탈하는 순간 도미 하락의 가속도가 붙어서 알트 불장이 시작 되긋제

평행 채널의 하단부(2-4 라인)가 깨지지 않는다면 아직 임펄스 종료 확정이 아니라는 점. 이 부분을 확인해야 시나리오가 명확히 성립됨.

두번째


2파 조정 자체가 러닝콜렉션(달리는말)로 현재 위로 조정이 계속 되는 경우
이 경우는 도미가 그렇게 많이 빠질꺼 같지는 않고 대략 58.5% 부근 까지 빠졌다가 급등할 수 있는 시나리오

2가지 경우의 수 모두 도미는 지금 2파 하락 구간에 접어든 공통 숏 구간이라서

WXY 구조는 내부 소파동의 구조와 명확한 조합을 추가적으로 면밀히 검증할 필요가 있음.
러닝 콜렉션의 특징인 ‘최종 Y파가 직전 고점(A파)를 돌파하지 않는 수준에서 끝나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체크해볼 필요가 있음.

단기 알트 불장은 필연적이지만 2파 조정이 끝난 이후에 도미의 급등이 기다리고 있는 구간이니까

지금이 알트들 대부분이 3-1 파동 대파동이 나올 수 있는 구간으로 보고 도미도 끝까지 추적 관측해서

지난번 내가 빙시그치 틀린 것을 반면교사 삼아 변동이 있으면 계속 추적 관측 해보자

📌 비트코인 도미넌스(BTC Dominance)란?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해.
쉽게 말해, 시장 전체에서 비트코인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야.
계산식:
BTC Dominance=BTC 시가총액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100(%)\text{BTC Dominance} = \frac{\text{BTC 시가총액}}{\text{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 \times 100(\%)
BTC Dominance=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BTC 시가총액×100(%)
예를 들어, 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총이 1조 달러이고, 그 중 비트코인 시총이 5000억 달러라면 비트 도미넌스는 50%야.
📌 비트 도미넌스 해석 방법과 의미
비트 도미넌스는 시장의 흐름을 해석할 때 매우 유용한 지표야.
도미넌스 상승 시기 (비트 강세장)
시장의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집중됨.
비트코인이 다른 알트코인보다 더 큰 상승률을 기록.
알트코인은 비트코인 대비 약세를 보이거나 상대적으로 덜 오름.
도미넌스 하락 시기 (알트 강세장)
시장의 자금이 비트코인에서 알트코인으로 이동.
알트코인의 상대적인 강세 및 알트코인 상승률이 비트코인을 압도.
이른바 ‘알트 불장’이 시작되는 신호.
📌 비트 도미넌스 패턴과 시장의 단계적 흐름
시장 사이클에서 비트 도미넌스는 보통 다음과 같은 단계적 흐름을 보여:
단계
비트 도미넌스 흐름
시장 상황 및 특징
1단계
도미넌스 상승 📈
비트코인이 주도하는 상승장 (BTC 상승폭 최대)
2단계
도미넌스 하락 📉
대형 알트코인이 상승 주도 (ETH 등 주요 알트 상승)
3단계
도미넌스 급락 📉📉
중소형 알트코인의 폭발적인 상승 (알트 불장)
4단계
도미넌스 상승 📈
시장 하락장 및 자금 회수 시기, 안전자산으로 자금 이동
이 사이클을 이해하면 시장에서 언제 비트코인에 집중하고, 언제 알트코인으로 자금을 이동시킬지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