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오피스텔 기준 시가가 지난해 대비
하락했다는 기사가 등장했습니다.
![]()
지난해 ‘전세 사기’를 막기 위해
정부는 전세보증보험 가입 요건을
강화했습니다.
이는 전세가를 끌어내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데
전세가가 낮아진 만큼
전세가가 떨어지거나(역전세)
혹은 월세로 대체해야 하는
매물이 증가하게 됩니다.
*참고로 기존에는
주택의 경우 KB 시세 100% 혹은
공시지가 150% 내에서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했다면
이제는 KB 시세 90% 혹은
공시지가 126% 이내에서만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최근 월세 수요가
풍부한 곳에서는 전세금을 낮춘
금액만큼 일부 월세로 전환하는
반전세 매물 혹은 월세가 올라가는
현상이 생기고 있습니다.
![]()
수익형 부동산 침체기로
오피스텔 매매가가 떨어지는데 반해
반전세 세팅을 할 수 있는
매물은 늘어나고 있으니
이를 잘 활용하면 적은 갭으로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투자 기회를
만들 수도 있겠죠?
최근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오피스텔 경매 물건이 나왔습니다.
![]()
권리 분석에 문제가 없는 깔끔한 물건입니다.
![]()
네이버 부동산으로 거래량을
살펴보니 매월 꾸준히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올해 1월에도 동일 타입
매물이 2억 3,900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지난 2년간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이
반으로 줄어든 시장 분위기를 생각하면
해당 단지는 비교적 꾸준하게
거래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현재 매물로 나온 물건은
향과 컨디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억 2천~2억 3천 선에 나와있습니다.
전화 임장을 통해 현재는
최저 2억 1천 선에서 매물이
나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세 보증보험 한도를 계산하기 위해
KB 시세 하한가 90%을 확인합니다.
![]()
KB 시세 하한 2억 2천만 원
* 90% = 1억 9,800만 원
전세가는 1억 9천만 원
이내에서 형성됩니다.
실제 임대 시세는
보증금 1억 9천만 원 / 월 10만 원
반전세로 나간다고 합니다.
(전화 임장 결과)
마지막으로 공시지가를 확인해 봅니다.
공시지가는 현재 매물의 가치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입니다.
![]()
현재 해당 물건의 공시가는
1억 6,500만 원 선입니다.
23년 공시가에 비해 2.2% 떨어졌지만
이전 공시지가를 살펴보면 꾸준하게
상승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올해 전국 오피스텔 기준 시가가
지난해 대비 4.77% 하락한데 반해
2.2% 수준으로 선방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가격적으로 메리트가 있다면
이제 남은 것은 매매&임대 수요
파악이겠지요?
마지막으로 현장 임장을
통해 꾸준한 월세 수요와
거래 가능 금액을 파악한다면
적은 갭 혹은 플피투자로
소액의 현금 흐름을 만들거나
혹은 단기 차익을 노려보는 투자
두 가지 전략 모두를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떤가요?
기사를 읽으면서 투자 인사이트를
얻는 습관을 만들면 기회를 만드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경제 공부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습관 한 가지
만들어보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