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자는 본질적으로 불평등 위에서 이루어짐.
2. 자본과 정보력은 물론, 성격과 심지어 유전자까지 영향을 미침.
3. 이 차이가 기회와 위기를 만들고, 수익률을 가르게 됨.
4. 투자라고 했지만 사실 세상이 생겨먹은 원리이기도 함. 세상은 평등하지도 않고, 평등할 수 없으며, 평등해서도 안됨.
5. 피터 드러커, 톰 피터스를 잇는 세계 3대 경영학의 스승인 오마에 겐이치는 난문쾌답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음.
6. 인간을 바꾸는 방법은 3가지 뿐이다. 시간을 달리 쓰는 것, 사는 곳을 바꾸는 것,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것. 이 3가지 방법이 아니면 인간은 바뀌지 않는다. ‘새로운 결심을 하는 것’은 가장 무의미한 행위다.
7. 인간은 이 3가지를 바꾸지 않으면 살던대로 산다는 말. [시간, 환경, 사람.] 나는 이 말을 참 좋아함.
출처 : Gemini
8. 세 가지 모두 주체적으로 바꿀 수 있지만 그 중에서 환경 세팅은 참 쉽지 않다고 느껴짐.
9.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한마디. ‘요즘 경기가 안 좋아. 어려워.’
10. 여기에 대해 누군가 뼈 아픈 팩트를 꽂아넣었음. ‘당신 주변이 그런 겁니다.’
11. 경기는 늘 순환하며 진행되어 왔음. 근데 어려운 사람은 늘 어려움. 주변 사람들도 다 어려움. 어려운 것만 보니 다 어려움.
12. 누구는 기회를 보고 있는데 누구는 위기만 보고, 한탄만 함. 닷컴 버블이든, 리먼 브라더스든, 코로나든 돈 버는 사람은 벌었음.
13. 코인으로 바로 비유하자면 다음과 같음.
14. 당신이 혹시 ‘손절했다. 어려워. 100만원 땄다. 하루만에 500 꼴았다. x같네.’와 같은 소릴하고 있다면
15. 당신과 당신 주변이 그런 것.
16. 반복하건대 시장은 늘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고 있음.
17. 앞서 말한 불평등, 시간, 환경, 사람 등의 요인이 다르니 아웃풋이 다름.
18. 이렇게 말하면 자존감이 낮은 유기물은 자아를 지키기 위해 ‘너는 잘났냐?, 시드 얼마?’ 와 같은 방어기제를 발동하고 날을 세움.
19. 그런 놈들을 우선 거르면 됨. 소음이 난무하는 세상에서, 주변에 날아드는 파리 정도는 떨쳐낼 수 있음.
20. 그럼 환경 세팅을 어떻게 해야 하냐? 기회를 보는 사람들을 어떻게 찾느냐?
21. 우리는 인류 역사상 최고의 초연결시대를 살아가고 있음.
22. 예전에야 고수를 찾아 전국팔도를 돌아다녀야 했지만 지금은 각종 SNS, 커뮤니티 등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음.
23. 고수로 보이는 사람들을 팔로업하고 그들을 기준으로 ‘필터’를 만들어야 함
24. 시덥잖은 똥글을 보며 내 뇌를 이상한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회를 보는 사람들로 채워넣어야 함.
25. (중요) 일반인을 보며 필터를 만드는 게 아니라 고수들을 기준으로 필터를 만들어야 함.
26. 한 가지 필터를 공유하자면, ‘돈 자랑, 수익 인증’ 하는 사람은 일단 거르면 됨.
27. 의도적으로 환경 세팅을 하고나면, 그 행위가 반복되고 나면 자연스럽게 레벨이 오르게 됨.
28. 왜냐? 내가 아는 코인하는 사람들은 전부 태도가, 원칙이, 자세가 되어있고 시야가 넓으니까. 통찰이 있으니까.
29. 한탄하고, 욕하고 ‘땄다’며 좋아하고, ‘잃었다’며 성질내고, 남탓하는 사람들만 알고있는 A와
30. 시장을 보려고 노력하고, 숨은 의미를 찾아내려 하고, 깊이 생각하고, 태도를 갖추려 하는 사람들만 아는 B가 있다면
31. 결과는? 당연히, 정해져 있다고 봐야할 수준.
32.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당신은 A와 B를 ‘선택’할 수 있음.
결론 : 내가 주로 노출되는 환경은 어떤 곳인가? 불장 흐름을 타는 사람들로 채워져있는가? 흐름을 타는 ‘척’하는 사람들은 아닌가? 아니면 이도저도 아닌 뜨내기들로만 채워져있는가? 혹은, 지저분하지만 걸러서라도 볼 수 있는가? 보고 있는가?